메뉴 건너뛰기
수궁가는 판소리 다섯마당 가운데 하나이다. 자라가 용왕의 병을 고치고자 토끼의 간을 구하러 세상에 나와 토끼를 꾀어서 용궁에 데리고 가지만 토끼는 꾀를 내어 용왕을 속이고 다시 살아 나온다는 이야기를 판소리로 짠 것이다. 수궁가는 송만재가 지은 관우희라는 글에 판소리 열두 마당으로 꼽힌 것에서 볼 수 있듯이 순조 이전부터 판소리로 불려졌던 것을 알 수 있고 순조 때 신만엽, 염계달, 철종 때 박만순, 고종 때 송우동, 유성준과 같은 명창들에 의하여 발전하여 왔다. 수궁가는 유파와 지역적 특징에 따라 여러 마디가 전승되어 왔으나 오늘날 전승되고 있는 것은 유성준제, 송만갑제, 정응민제가 있다. 수궁가는 정광수, 박초월이 보유자로 인정되었던 바 박초월은 작고하였다. 정광수가 보유하고 있는 것은 유성준제이다. 이러한 수궁가는 용왕이 득병하여 자라가 세상에 나오는 대목, 짐승들의 나이 다툼, 자라와 토끼 만나는 대목, 토끼가 용궁에 오는 대목, 토끼가 세상에 나오는 대목으로 되어 있다. 이 가운데 약성가, 토끼화상, 고고천변, 자라와 토끼가 만나는 대목, 토끼의 삼재팔난, 토끼의 기변, 토끼가 세상에 나오는 대목이 흔히 불려지는 유명한 노래이다. 수궁가는 물고기와 산짐승들이 주인공이 되는 우화이어서 아기자기한 맛이 있으나 주인공들이 용궁의 신하들인 만큼 소적벽가라 하여 꿋꿋한 맛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