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단종태실지는 세종대왕이 임금자리에 오른지 23년(1441)에 그의 애손(愛孫)인 단종이 태어나자 자신의 태실 앞산에 태실을 안치토록 어명을 내려 곧 그해에 조영하였다. 임진란 때 왜적이 몰려와 규모가 큰 세종대왕의 태실은 거의 파괴되었으나, 규모가 작은 단종 태실은 적의 눈길을 끌지 못하여 다행히도 화를 면했다. 영조 10년(1734) 세종대왕의 태실비를 세울 때 단종의 태실비도 이때 함께 세웠다. 단종은 세종 23년(1441)에 태어나서 12살의 어린 나이로 부왕인 문종의 뒤를 이어 1452년에 제6대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그를 보필하던 중신들이 그의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참살되자 1455년 재위 3년만에 왕위를 빼앗기고 노산군으로 봉해져, 강원도 영월 땅에 유배되었다가 그의 숙부인 세조 3년(1457)에 죽음을 당한, 조선왕조 역사상 가장 슬픈 운명의 임금이었다. 현재 태실지 산비탈에 석물들이 흩어져 있고 본래의 태실지에는 민묘가 있으며 1972년 2월 12일 세종대왕태실지와 함께 도지정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하고 있으며 역시 수리에 관한 내용은 세종대왕·단종대왕태실수개의궤에 기록되어 있고 2000년 사천문화원에서 번역본을 발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