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해방 이후 한국의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거목 김동리! 순수문학과 신인간주의의 문학사상으로 일관한 그는 광복 직후 민족주의 문학 진영에 가담하고 우익 민족문학론을 옹호한 대표적인 인물이다. 고유의 토속성과 외래사상과의 대립을 통해 인간성의 문제를 그렸고 6.25전쟁 이후에는 인간과 이념의 갈등에 주안을 두었다. 대표작품은 《화랑의 후예》,《무녀도》,《역마》,《황토기》,《등신불》등이 있다.
김동리 본명은 김시종, 동리는 필명으로 1913년 11월 24일 경북 경주 태생. 경주 제일교회 부속 계남학교를 졸업한 후 1926년 대구 계성학교에 입학하였 다가 1928년 서울 경신학교 3학년에 편입하였으나 이듬해 중퇴하였다. 1935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화랑의 후예》, 이듬해 동아일보 신춘 문예에 《산화》가 거듭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그 후 《바위》, 《무녀도》《황토기》등의 문제작들을 발표함으로써 주목받는 신진작가의 한 사람 으로 부상하였으며, 유진오와 ‘순수논쟁’을 벌이기도 하였다. 김동리의 문학세계에서 가장 뚜렷한 흐름을 이루고 있는 것은, 토착적 한국 인의 삶과 정신을 깊이 있게 탐구하면서, 그것을 통하여 우주 속에 놓인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주어진 운명의 궁극적인 모습을 이해하려는 끈질긴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1934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등단한 김동리는 창작에만 집필 하고자 조용한 곳을 찾던 중 형의 소개로 다솔사에 머물게 된다. 다솔사의 요사채 안심요에 머물렀던 것이다. 《황토기》의 장사 와 절맥설 모티브, 《당고개 무당》의 당고개, 《황토기》와 《산제》의 주산, 《바위》의 다솔사 앞 장군석과 문둥이 마을 등 그의 작품의 주요 모티브가 된 것이 바로 사천 다솔사 지역에 있었던 것이다. 다솔사에 얽힌 전설을 기초로 하여 쓰여진 작품이《황토기》이고 다솔사에 있었던 소신대를 바탕으로 한용운 스님과 범부 범술 세 분의 ‘소신공양’ 담론에 충격을 받고 쓰여진 작품이 《등신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