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으로 외적의 침입이 잦아 이에 대비한 축성이 삼국시대부터 이뤄져 도처의 요새지에는 성지가 남아 있는데, 남한 각지에 남아 있는 것만도 1,115개나 된다고 한다. 이들 성은 축성 형식에 따라 도성, 산성, 읍성, 행성, 왜성 등으로 구분하며, 또 지형의 이용에 따라 테메식, 포곡식, 평지성 등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삼천포항을 서남 방향으로 병풍처럼 둘러 쳐 있는 산이 각산인데 바다를 한 눈에 굽어 볼 수 있는 지역으로서 이 산의 8부 능선에 길이 242m를 돌로 쌓은 석성이 남아 있으니 이 곳이 각산산성이다. 성의 남쪽 성문은 원형대로 남아 있으니 성벽의 대부분이 허물어져 있어 복원을 하였다.
이 성은 백제의 제30대 무왕 6년(A.D 605년)에 축성한 것으로 기록은 전하고 있다. 백제는 전성기에 영토를 이 지방까지 확장한 적이 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진주목본백제거열성」 즉, 「진주는 본래 백제의 거열성이었다」하는 대목을 보면 진주가 백제의 영토였다는 사실이 명백히 나온다. 가야제국이 흩어져 살다가 가락국이 신라에 의하여 병합될 무렵에 진주지방이 고령, 가야는 백제가 공취하여 거열성을 두었다. 하고 무왕 6년 2월에 각 산성을 쌓았다고 하였는데 이 성은 진주의 남쪽 76里에 있다고 하였으니 오늘의 각산산성이다. 이 산성은 그 뒤 고려시대에는 삼별초난을 토평하는데도 활용되었으며 왜구의 침범에는 각산리의 주민들이 이 산성에 의지해서 대응했던 곳이다.